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우뇌2

속독, 우뇌를 활용한 이미지 활용 ’아날로그 읽기’ 우뇌를 활용한 강력한 속독 기술이 있다. 바로 ’디지털 읽기’에서 ’아날로그 읽기’로 옮겨가거나, 이 두 방법을 함께 쓰는 것이다. 디지털 읽기란 좌뇌를 이용하여 글을 읽는 방법이다.앞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우리는 초등학생 때부터 국어책 소리 내어 읽기 등 글자를 하나하나 표현해서 이햋하는 ’음독’ 교육을 받아왔다. 그래서 성인이 되어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 버릇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. 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을 때 소리로는 내지 않더라도 마음속으로 한 자 한 자 중얼거리며 활자를 소리(단어)로 전환해 내용을 이해한다. 이를 ’묵독’이라고 한다. 하지만 이 방법으로는 분당 700~800자의 벽을 넘을 수가 없다. 음독도 묵독도 내용을 소리로 전환해서 이해하기 때문이다. 이 읽기 방식은 한 자 한 .. 2016. 8. 7.
속독의 비결 ➁ 그림을 보는 것처럼 문장을 바라보라 속독의 비결은 한 줄에서 여러 줄의 문장을 글자 덩어리가 아닌 그림을 본다는 마음으로 읽어나가는 데 있다. 처음에는 내용이 이해되지 않을지도 모른다. 그래도 좋으니 어쨌든 책의 한 구절을 글자가 아니라 그림이라는 마음으로 읽어야 속독력이 향상된다. 이는 나중에 설명하게 될 우뇌 이미지법을 응용한 것이다. 신문에 게재된 사진을 떠올려보자. 어떤 면이라도 상관없으니 신문에 게재된 한 장의 사진을 응시하면 그것이 작은 점의 집합이라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. 눈은 이 면적당 점의 농도를 종합해서 판단하고 인식한다. 사진이 글자보다 크다고 해서 사진을 왼쪽 위에서부터 조금씩 보는 사람은 없다. 무의식중에 전체를 한 번에 보고 파악한다. 이를 글을 읽는 데 응용하는 것이다. 왼.. 2016. 8. 7.
반응형